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초등학생도 알수 있는 야구 선수 지표 용어 쉽게 설명 + 예시 포함 (OPS, WHIP 등)

반응형
야구 지표 용어 쉽게 설명 + 예시 포함 (OPS, WHIP 등)

야구 지표 용어 쉽게 설명 + 예시 포함 (OPS, WHIP 등)

야구에는 선수의 능력을 수치화하여 평가하는 다양한 지표들이 존재합니다. 초보자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 있는 OPS, WHIP, ERA 등의 용어를 쉽게 이해하려면 개념뿐만 아니라 실제 예시를 함께 보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 이 글에서는 각 용어의 정의와 함께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설명합니다. 야구를 더 깊이 즐기고 싶은 분들에게 유익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.

1. OPS (On-base Plus Slugging)

OPS는 타자의 출루율(OBP)과 장타율(SLG)을 더한 값입니다. 이 지표는 타자의 전체적인 공격력을 평가할 때 사용됩니다.

예시: 한 타자의 출루율이 0.400이고 장타율이 0.550이라면, OPS는 0.950입니다. 이 수치는 매우 뛰어난 수준으로, 리그 상위 10% 안에 드는 성적입니다.

2. WHIP (Walks plus Hits per Inning Pitched)

WHIP은 투수가 이닝당 얼마나 많은 주자를 출루시켰는지를 나타냅니다. 안타와 볼넷 수를 이닝 수로 나눠 계산합니다.

예시: 어떤 투수가 100이닝 동안 80개의 안타와 20개의 볼넷을 허용했다면, WHIP = (80 + 20) / 100 = 1.00입니다. 이 수치는 리그 평균보다 훨씬 우수한 기록입니다.

3. ERA (Earned Run Average)

ERA는 투수가 9이닝 기준으로 허용한 평균 자책점입니다. 낮을수록 뛰어난 투수로 평가받습니다.

예시: 투수가 120이닝 동안 30자책점을 허용했다면, ERA = (30 ÷ 120) × 9 = 2.25입니다. 이 수치는 매우 뛰어난 수준의 ERA입니다.

4. OBP (On-Base Percentage)

OBP는 타자가 얼마나 자주 출루하는지를 보여줍니다. 안타, 볼넷, 몸에 맞는 공 등을 포함하여 계산합니다.

예시: 타자가 100타석에서 안타 25개, 볼넷 10개, 몸에 맞는 공 5개로 출루했다면, OBP = (25 + 10 + 5) ÷ (100 + 희생플라이 제외 수) ≈ 0.400입니다.

5. SLG (Slugging Percentage)

SLG는 장타율로, 타자가 기록한 안타의 ‘질’을 보여줍니다. 2루타, 3루타, 홈런일수록 가중치를 더 많이 받습니다.

예시: 타자가 100타수에 단타 20개, 2루타 10개, 3루타 2개, 홈런 8개를 기록했다면, SLG = (1×20 + 2×10 + 3×2 + 4×8) ÷ 100 = 0.700입니다. 매우 강력한 장타력을 의미합니다.

6. K/9 (Strikeouts per 9 Innings)

K/9는 투수가 9이닝 동안 평균 몇 개의 삼진을 잡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.

예시: 투수가 63이닝 동안 84개의 삼진을 잡았다면, K/9 = (84 ÷ 63) × 9 = 12.00입니다. 이 수치는 삼진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는 의미입니다.

7. BB/9 (Walks per 9 Innings)

BB/9는 투수가 9이닝 동안 평균 몇 개의 볼넷을 허용하는지를 나타냅니다.

예시: 투수가 90이닝 동안 18개의 볼넷을 허용했다면, BB/9 = (18 ÷ 90) × 9 = 1.80입니다. 제구력이 매우 뛰어난 투수로 볼 수 있습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