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
방송 독립성 강화? 오늘 국회가 통과시킨 방송법의 핵심 정리

jaeminpapa 2025. 8. 6. 16:53
반응형

 

2025년 8월 5일(서울 기준) 국회 본회의에서 방송법 일부개정법률안이 통과되었습니다 


📌 핵심 내용 (『방송법』 개정안 기준)

  • KBS 이사 수 확대: 기존 11명에서 15명으로 확대
  • 추천 주체 다양화:
    • 국회(6명)
    • 시청자위원회(2명)
    • 임직원(3명)
    • 방송·미디어 학회(2명)
    • 변호사 단체(2명) 
  • 사장추천위원회 구성:
    • 공영방송은 100명 이상의 시민으로 구성된 추천위를 통해 사장 선임
    • 보도 전문 채널(YTN·연합뉴스TV)은 교섭대표 노조와 합의한 절차 필요
  • 노사동수 편성위원회:
    • 지상파·종편·보도채널은 사측과 노측 동수가 추천한 위원으로 구성
    • 방송 편성의 자율성을 높이기 위한 장치
  • 보도책임자 임명동의제:
    • 보도국장 등 뉴스 책임자는 보도 분야 직원 과반수 동의로 임명
    • 기존 책임자는 새 보도책임자 임명 시까지 직무 수행 가능 

📊 처리 경과 및 전망

  • 본회의에서 재석 180명 중 찬성 178명, 반대 2명으로 가결
  • 국민의힘은 표결에 불참하며 필리버스터로 대응했으나, 24시간 경과 후 무기명 표결로 종료되고 본회의 통과 
  • 이번 개정은 공영방송(KBS)에 대한 제도적 독립성 강화의 첫 단계로 평가받고 있으며, **향후 MBC·EBS 관련 두 개 법안(방송문화진흥회법·한국교육방송공사법)**도 8월 임시국회에서 처리 예정 
  • 다만, 방통위 등의 조직개편이나 후속 법률 정비가 진행되어야 개정 효과가 실질화될 전망이며, 이사회 구성은 시행 후 3개월 안에 완료되어야 함

   필리버스터란?

● 정의

의회에서 다수당의 법안 통과를 막기 위해 소수당이 발언을 장시간 이어가며 표결을 지연하는 행위


 왜 하는 걸까?

  1. 시간을 끌어 법안 통과를 막기 위해
  2. 여론을 환기시키고 이슈화시키기 위해
  3. 법안 수정·합의를 유도하기 위해

🧭 앞으로 주목할 점

  1. 이사 교체 시기: 대통령이 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으면 연내 KBS 이사회 교체 가능성
  2. 방통위 개편과 규칙 정비: 추천 절차 정비가 필요한 핵심 기관
  3. 잔여 방송3법 처리 과정: 정치권의 입장에 따라 필리버스터 지속 여부 주목

요약하면, 이날 본회의 통과된 개정안은 KBS를 중심으로 한 공영방송의 지배구조를 시민 중심으로 전환하고, 보도 독립성과 구조 다양성 확보를 주요 목표로 합니다. 이번 법안은 38년 만의 공영방송 구조 개편의 중요한 출발점으로 평가됩니다

반응형